(정리중..)
리눅스 명령어 요약노트
1. 파일 및 디렉토리 관련 명령어
ls :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 목록 보기
cd [디렉토리 경로] : 디렉토리 이동
pwd : 현재 작업 중인 디렉토리 경로 확인
mkdir [디렉토리명] : 새 디렉토리 생성
rmdir [디렉토리명] : 빈 디렉토리 삭제
rm [파일명] : 파일 삭제
rm -r [디렉토리명] : 디렉토리 및 내부 파일 삭제
cp [원본 파일] [대상 파일] : 파일 복사
mv [원본 파일] [대상 파일] : 파일 이동 및 이름 변경
touch [파일명] : 새로운 빈 파일 생성
cat [파일명] : 파일 내용 출력
more [파일명] : 파일 내용 페이지별로 출력
less [파일명] : 파일 내용을 페이지별로 출력, 위/아래로 스크롤 가능
2. 파일 권한 관련 명령어
chmod [옵션] [파일명] : 파일 권한 변경
+x : 실행 권한 추가
-x : 실행 권한 제거
+r : 읽기 권한 추가
-r : 읽기 권한 제거
chown [사용자:그룹] [파일명] : 파일 소유자 및 그룹 변경
chgrp [그룹명] [파일명] : 파일 그룹 변경
3. 파일 검색 관련 명령어
find [경로] -name [파일명] : 특정 이름의 파일 찾기
grep [문자열] [파일명] : 파일 내에서 특정 문자열 검색
locate [파일명] : 시스템에서 파일 위치 찾기 (미리 인덱싱 필요)
which [명령어] : 명령어가 위치한 경로 출력
4. 시스템 정보 관련 명령어
top : 시스템의 리소스 사용 현황을 실시간으로 출력
df : 파일 시스템의 디스크 사용량 확인
du : 디렉토리의 디스크 사용량 확인
free : 메모리 사용 현황 확인
uptime : 시스템이 부팅된 이후 경과 시간 및 부하 정보 확인
whoami :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 확인
hostname : 시스템 호스트 이름 확인
5. 프로세스 관련 명령어
ps :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 확인
ps aux : 시스템의 모든 프로세스 확인
kill [PID] : 프로세스 종료
killall [프로세스명] : 특정 프로세스 종료
6. 네트워크 관련 명령어
ping [호스트] : 네트워크 연결 상태 확인
ifconfig :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및 상태 확인 (새로운 시스템에서는 ip a로 대체)
netstat : 네트워크 연결 상태 확인
ss : netstat의 대체 명령어로 소켓 상태 확인
scp [파일] [사용자@호스트:경로] : 파일을 원격지로 복사
ssh [사용자@호스트] : 원격지 서버에 SSH로 접속
wget [URL] : URL에서 파일 다운로드
7. 사용자 관리 관련 명령어
useradd [사용자명] : 새 사용자 추가
usermod [옵션] [사용자명] : 기존 사용자 수정
passwd [사용자명] : 비밀번호 변경
groupadd [그룹명] : 새 그룹 추가
groups [사용자명] : 사용자 그룹 확인
who : 로그인한 사용자 목록 출력
8. 압축 및 아카이브 관련 명령어
tar -cvf [압축파일명.tar] [디렉토리] : 디렉토리 압축
tar -xvf [압축파일명.tar] : 압축파일 해제
gzip [파일명] : 파일 압축
gunzip [파일명.gz] : 압축 해제
9. 파일 편집 관련 명령어
nano [파일명] : 파일을 Nano 편집기로 열기
vim [파일명] : 파일을 Vim 편집기로 열기
10. 시스템 종료 및 재부팅
shutdown -h now : 시스템 즉시 종료
reboot : 시스템 재부팅
halt : 시스템 종료
11. 디스크 관련 명령어
fdisk -l : 디스크 파티션 목록 출력
mount [디스크] [마운트 지점] : 디스크 마운트
umount [디스크] : 디스크 언마운트
12. 파일 시스템 체크
fsck : 파일 시스템 검사 및 복구
이 명령어들을 잘 기억해두면 리눅스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!

'독일에서 코딩 독학(IT Lernen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네트워크 공부중.. (0) | 2025.03.31 |
---|---|
Amazon Bedrock (0) | 2025.03.26 |
AWS 공부기록 1 (0) | 2025.03.22 |
파이썬 Python 코딩 무료강의 추천! : 코딩 입문자에게 최적의 선택 (0) | 2025.03.20 |
VS Code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 vs VS 비주얼 스튜디오 : 어떤 개발 도구를 선택해야 할까? (0) | 2025.03.20 |